12.12 군사 쿠테타(군사 반란)과
사태의 주역인 전두환 노태우 하나회
그리고 시대적 배경과
주변인물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소름끼치는 신군부 전두환의 군사 반란
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.
12.12 사태(군사 쿠테타)란?
주요 사건들
12/12 사태 (1979년 군사 쿠데타): 1979년 12월 12일에 발생
전두환과 노태우가 주도한 사건으로
육군참모총장 정승화, 특수전사령관 정병주,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등
주요 군사 인사들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체포됨.
전두환의 급부상: 전두환은 정치적 강자로 급부상하여
1980년 5월 17일 쿠데타와 광주 민주화 운동의 진압을 주도했다.
전두환은 1980년 8월 22일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후
1980년 9월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이 됐다.
사건의 여파 및 재판: 전두환과 노태우는 그들이 저지른 일에 대해
재판을 받았다.
세부 연대기
10/26 사건 이후 (박정희 암살): 군 지도자들은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된
육군참모총장 정승화 아래 일치단결하기로 결의함.
전두환의 행동: 11월 중순부터 전두환은 정승화를 전복시키고
지지자들을 모으기 시작했으며,
여기에는 고위 군 관계자들도 포함됨.
1979년 12월 12일: 전두환과 그의 동료들, 노태우를 포함하여 쿠데타를 계획하고 실행함.
최규하 대통령의 체포 승인 거부에도 불구하고
주요 군사 인사들을 체포함.
1980년 군사 재편성 및 광주 항쟁: 전두환과 그의 동료들은 군 내 반대 세력을 억압하고
5월에 광주 민주화 운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함.
전두환의 대통령 임기: 1980년 9월 제11대 대통령이 되어 헌법 개정 후 제5공화국을 수립함.
미국과 북한의 반응: 미국은 처음에는 쿠데타를 비판했으나 나중에 입장을 완화함.
북한은 남한의 불안정한 상황에 대응해 행동을 준비함.
법적 절차: 군사 쿠데타가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,
국가 안정에 대한 우려로 초기 기소 결정이 지연됨.
그러나 결국 전두환과 노태우는 쿠데타와 광주 항쟁에서의 역할에 대해 재판을 받고
유죄 판결을 받음.
최종 판결 및 사면: 전두환은 종신형으로 감형 받았으며,
전두환과 노태우는
1997년 김영삼과 김대중 전 대통령 간의 합의에 따라
결국 사면됨.
전두환 노태우 그리고 하나회
전두환과 노태우
[전두환 내용]
이름 | 전두환 |
출생일 | 1931년 1월 18일 |
출생지 | 현재의 대한민국 경상북도 합천 |
사망일 | 2021년 11월 23일 |
정치적 경력 | 대한민국의 제5대 대통령 (1980년 ~ 1988년) |
주요 활동 | 12·12 군사 쿠데타 주도, 5·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|
재임 기간 | 1980년 9월 1일 ~ 1988년 2월 24일 |
교육 | 육군사관학교 졸업 |
사망 원인 | 뇌출혈 |
역사적 평가 | 군사 독재 정권, 인권 유린과 부패로 비판 받음 |
[노태우 내용]
이름 | 노태우 |
출생일 | 1932년 12월 4일 |
출생지 |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|
사망일 | 2021년 10월 26일 |
정치적 경력 | 대한민국의 제6대 대통령 (1988년 ~ 1993년) |
주요 활동 | 6·29 민주화 선언,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 |
재임 기간 | 1988년 2월 25일 ~ 1993년 2월 24일 |
교육 | 육군사관학교 졸업 |
사망 원인 | 복부 대동맥류 파열 |
역사적 평가 | 노태우는 민주화 과정에서의 기여와 경제적 성취라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부패 스캔들이라는 부정적 측면 |
하나회
[하나외 내용]
조직명 | 하나회 |
설립자 | 전두환, 노태우 |
설립 시기 | 1970년대 중반 |
주요 구성원 | 육군사관학교 11기 졸업생 |
목적 | 회원 간 상호 지원, 군 내 영향력 확대 |
주요 역할 | 12·12 군사 쿠데타 주도, 5·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|
조직의 성격 | 군 내 동지애와 연대 강조, 실제로는 정치적 개입과 권력 집중의 수단 |
역사적 영향 | 전두환, 노태우의 정치 권력 장악에 결정적 역할, 현대 한국사에 큰 영향 |
국내외 평가 | 많은 논란과 비판, 대한민국 민주화 과정에서 부정적 역할 평가 |
1980년대 정치 환경
1980년 1월: 12/12 사건에 비판적인 사람들을 배제하고 군 지도부의 대대적인 개편.
1980년 5월 중순: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대규모 학생들의 시위.
1980년 5월 17일: 전두환이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광주항쟁을 일으켰다.
1980년 5월 24일: 박정희 암살 관련자 처형.
1980년 8월 : 최규하 대통령이 군부의 압력으로 사임.
1980년 9월 1일: 전두환이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되어 제5공화국이 탄생하였다.
1990년대 재평가
김영삼 대통령 당선: 12·12 사건을 쿠데타로 규정.
1994년: 검찰이 국가안보 문제를 이유로
12·12 사건에 대한 기소유예를 발표.
1995년 : 헌법재판소가 기소유예결정에 대한 청구를 기각함.
검찰도 성공적인 쿠데타는 기소할 수 없다는 이유로
광주항쟁 가해자들에 대한 기소를 자제했다.
재판 및 유죄판결:
1996년 1월: 5·18 광주민주화운동과 12·12 사건에 관여한 혐의로 전두환·노태우 기소.
재판 결과: 전두환은 처음에 사형을 선고받았으나
나중에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.
노태우에게 무기징역이 선고됐다.
한국 대법원: 새로운 헌법에 따라 통치하더라도
폭력적인 권력 장악 행위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
유죄 판결을 유지했습니다.
사면 및 정치적 해결:
1997년 12월 :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당선인의 정치적 합의로 전두환, 노태우 등 관련자들이 사면됐다.
[표를 통한 주요 사건 정리]
날짜 | 사건 |
---|---|
10/26 사건 이후 | 박정희 암살 이후 정승화 아래 군 지도자들 일치단결. |
1979년 11월 중순 | 전두환, 정승화에 대한 쿠데타 계획 시작. |
1979년 12월 12일 | 전두환과 노태우 주도 쿠데타, 주요 군 지도자 체포. |
1980년 1월 | 권력 공고화를 위한 군 지도부 재편성. |
1980년 5월 중순 | 군부 정권에 대한 대규모 학생 시위 시작. |
1980년 5월 17일 | 전국적인 비상계엄령 선포,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짐. |
1980년 5월 24일 | 박정희 암살 관련자 처형. |
1980년 8월 | 최규하 대통령 사임. |
1980년 9월 1일 | 전두환, 제11대 대통령 취임, 제5공화국 수립. |
관련 사진들
영화 '서울의 봄'
영화 '서울의 봄'은 1979년 12월12일 전두환, 노태우를 비롯한
하나회 멤버들이 주축이 되어 군사 쿠테타를 일으키고
정권을 찬탈한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
그 당시 긴박했던 서울의 상황을 영화로 재구성 한 작품입니다.
평점이 9점대로 굉장히 높고
저도 영화관에서 봤지만 ㅠ
너무 화가나는 내용들이 많아요.
분노주의!!!
영화예매는 바로가기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.
개봉일: 2023.11.22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- 12세 이상 관람가
- 러닝타임 : 141분
- 장르: 역사영화, 드라마
- 감독: 김성수
- 주역 배우 : 황정민, 정우성, 이성민
- 내용 : 1979년 12월 12일 저녁 7시부터 이튿날 새벽 4시까지의 9시간을
영화화 한 것으로
영화속에서 반란군과 진압군 지휘관 등의 이름을
허구의 이름인 전두광, 이태신, 정승화 등으로
대체하였습니다.
모바일 어플로도 가능합니다.
바로가기는 플레이스토어에서
CGV모바일 영화예매 어플을 다운로드해서 설치 후
예매하실 수 있습니다.